<버전 만들기(commit)>
: 버전의 변화는 소프트웨어 상의 의미있는 변화이고 버전을 통해서 전 버전으로 돌아가거나 변경 정보를 알 수 있다.
Git를 처음 사용할 때 해당 Git의 사용자와 사용자 메일을 만드는 명령어 => 자신이 버전 관리했다는 것을 알릴 수 있다.
※ 실제 버전 만들기
git commit를 입력하면 밑에와 같이 파일 편집기가 나오고 해당 편집기에서 버전/커밋 메시지(변화가 어떤 변화인지, 왜 변경되었는지)를 입력해 실제 버전을 만들 수 있다.
git commit 명령으로 버전이 생성되었다.
위 사진을 보면 입력한 이름, 이메일과 버전 메시지 "1"이 나오는 것을 알 수 있다.
※ 버전을 추가적으로 만들기
test.txt 파일을 "souce : 2"로 갱신했다.
git status로 상태를 보니 test.txt가 modified: 로 변경된 것을 알 수 있다.
처음에 test.txt를 Git에 관리할 대상으로 등록할 때 위 명령어를 쳐서 등록했는 데 파일 생성 외에 변경 후에도 commit 하기 위해서는 위 명령어를 쳐야 한다. 그 이유에 대해선 나중 포스트에 포스팅할 예정이다.
git commit 명령어를 입력한 후 버전 메시지로 "2"를 넣었다. 밑에 보면 test.txt가 modified로 변경된 것을 알 수 있다.
git log 명령어 결과 버전 메시지 "2"가 출력된 것을 볼 수 있다.
'Git(생활코딩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it 원리(2) - commit (0) | 2017.06.11 |
---|---|
Git 원리(1) - git add (0) | 2017.06.09 |
Git 기본(4) - 변경사항, 과거 돌아가기 (0) | 2017.06.05 |
Git 기본(3) - add (0) | 2017.06.04 |
Git기본(1) - 저장소 만들기/파일 등록 (0) | 2017.06.04 |